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 주가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 및 인수 추진 소식을 둘러싼 시장의 평가가 극단적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여행, 항공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고 아시아나는 한차례 인수합병이 무산되었기 때문일 텐데요.

 
이에 대해 16일 산업 경쟁력 강화 관계장관(신경장) 회의를 열어 아시아나 항공의 정상화 방안을 논의할 계획입니다.
 
이 회의 이후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정부 차원에서 공식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 인수

국국내 1위와 2위 항공사인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으로 한 지붕 아래 두 항공사가 함께하게 되면 초대형 항공사가 탄생하게 됩니다.
 
대한항공을 보유한 한진그룹의 한진 칼에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산업은행이 자금을 투자하고 한진 칼이 증자 대금으로 금호산업이 보유하고 있는 아시아나항공의 지분(30.77%)을 사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는데요.
 
이렇게 되면 산업은행이 사실상 재무적 투자자로 인수에 참여하는 구조가 됩니다.
 
아시아나는 지난 9월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무산된 이후에 산은, 수은 두 국책은행의 관리 체제 아래에 있습니다.
 
아시아나 항공의 정상화 방안을 고민하다가 대한항공에 인수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부상하게 된 것입니다.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 인수 

아시아나항공뿐만 아니라 대한항공에도 이미 대규모의 세금이 투입되었습니다.
 
아시아나에는 산은과 수은으로부터 3조 3천억을 지원받았고 이미 모두 소진했습니다. 최근에는 기간산업 안정 기금 자금 2억 4천억을 추가 지원받았습니다.
 
대한항공도 올해 4월에 1조 2천억을 지원받았으며 기간산업 안정 기금 신청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 주가

만약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이 성사되면 주가는 어떻게 움직이게 될까요? 사실 아무도 모르지만 우려하는 목소리와 긍정적인 면 보는 두가지 시선이 존재합니다. 
 
부정적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 주가
먼저 부정적인 것은 대한항공 아시아나 모두 우리나라의 국적 기지만 실적이나 재무에서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인 지 오래되었고 지금이 최악의 상황이라는 것입니다.
 
대한항공은 그나마 화물 운송과 비용 감축으로 조금의 흑자를 내고 있지만 4분기에는 적자전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상반기의 부채비율도 1100%인데요. 최근에 유상증자와 자산매각으로 2조 원의 자금을 확보했지만 1년 내에 갚아야 할 차입금만 해도 6조 원이고 장기차입금은 10조 원입니다.
 
현재 매각을 추진 중인 자산을 모두 팔아도 감당이 안 되는 수준이라 여기에서 아시아나까지 인수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입니다.
지분 매입에 드는 비용 3천억 원과 아시아나 항공 건전성 개선 자금까지 동원할 능력이 없어 보이는데요. 물론 산은이 여신 연장이나 자금 지원 등으로 여러 가지 지원책을 펴낼 가능성도 있습니다.
 
더 심각한 아시아나는 2300%의 부채비율을 보입니다. 1년 이내 4조 7979억 원을 갚아야 하는데요. 코로나로 여객 수요가 거의 없다시피한 상황에서 더 상황이 어려운 것입니다.

긍정적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 주가

반면 해외 사례를 들어서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특히 에어 프랑스와 KLM 인수가 가장 좋은 예인데요. 에어 프랑스와 KLM 모두 만성적자에 시 탈리고 있었는데 합병으로 초대형 항공그룹이 생겼고 첫해 수익성 50% 개선, 유럽 점유율 25%로 큰 시너지효과를 보였습니다.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 이후 자산규모는 40조 원으로 불어납니다. 이는 세계 10위권 수준인데요. 중국의 국적사인 중국 남방항공, 중국 동방항공과 맞먹는 규모입니다.
 
시장은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조금 더 강한것 같습니다. 대한항공의 경우 16일 오전 5.8%상승, 아시아나는 20%상승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합병 인수 결정 이후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이 결정되어도 다음 장애물들이 있습니다.
 
공정거래 위원회의 기업결합 승인을 받아야 하고 대규모 구조조정 예상에 따른 노조의 반발도 있을 수 있습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뿐만 아니라 그 아래 자회사인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의 점유율까지 합치면 60%가 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주항공 이스타 항공 합병이 승인된 것처럼 아시아나 항공이 회생 불가능한 회사로 판단될 경우에는 승인될 가능성도 높습니다.